티스토리 뷰
조선의 제22대 왕 정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한제국의 첫 번째 황제인 고종의 증조부이며, 근대화와 자주성을 추구한 역사적 인물입니다. 그는 지난한 여정을 거쳐 왕위에 올라 갖가지 개혁 정책 및 탕평을 통해 대통합을 추진하였으나,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그가 재위기간에 추진했던 각종 정책은 대부분 폐기되었습니다. 그럼 정조의 삶과 업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왕위 계승과 친정체제 구축
정조는 1759년(영조 35) 세손에 책봉되었다가 1762년 장헌세자가 비극의 죽음을 당하자 요절한 영조의 장남 효장세자의 후사가 되어 왕통을 이었습니다. 1775년 대리청정을 하다가 이듬해 영조가 죽자 25세에 왕위에 올랐는데 생부인 장헌세자가 당쟁의 희생양이 되었듯이 정조 또한 세손으로서 여러 위험 속에서 홍국영 등의 도움을 받아 어려움을 극복하였습니다. 그리고 즉위하자마자 규장각을 설치하여 문화정치를 표방하는 한편 그의 즉위를 방해한 정후겸, 홍인한, 홍상간, 윤양로 등을 제거하였습니다. 이어 그의 총애를 빌미로 세력정치를 벌이던 홍국영까지 몰아내고 친정체제를 구축하였습니다.
규장각과 문화정치
정조는 빛바랜 홍문관을 대신하여 규장각을 문형의 상징적 존재로 삼고 홍문관, 승정원, 춘추관, 종부시 등의 기능을 점진적으로 부여하여 정권의 핵심 기구로 키워 나갔습니다. 우문지치와 작성지화를 규장각의 양대 명분으로 내세워 본격적인 문화정치를 추진하고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 것입니다. 작성지화의 명분 아래 기성 인재를 모아 참상·참외의 연소 문신을 선발, 교육하여 국가의 동량으로 키워 자신의 친위 세력으로 확보하고자 하였습니다. 우문지치의 명분 아래 세손 때부터 추진해 온 사고전서 수입에 힘쓰는 동시에 서적 간행에도 힘써 새로운 활자를 개발하였습니다. 곧이어 임진자, 정유자, 한구자, 생생자, 정리자, 춘추관자 등을 새로 만들어 많은 서적을 편찬하였습니다. 사서, 삼경 등 당판 서적 수입 금지 조치도 이처럼 자기 문화 축적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또한 왕조 초기에 제정·정비된 문물제도를 변화하는 조선 후기 사회에 맞게 재정비하기 위해 영조 때부터 시작된 정비 작업을 계승·완결하였습니다. 속오례의, 증보동국문헌비고국, 조보감, 대전통편, 문원보불, 동문휘고, 규장전운, 오륜행실 등이 그 결과였습니다. 이와 함께 자신의 저작물도 정리하여 훗날 홍재전서(184권 100권)로 간행되도록 하였습니다.
탕평책과 개혁정책
정조는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해 당쟁에 대해 극도의 혐오감을 갖고 왕권을 강화하고 체제를 재정비하기 위해 영조 이래의 기본 정책인 탕평책을 계승하였습니다. 그러나 공고히 세력을 구축하던 노론이 끝까지 당론을 고수하며 벽파로 남았고 정조의 정치 노선에 찬성하던 남인과 소론 및 일부 노론이 시파를 형성하면서 당쟁은 종래의 사색당파에서 시파와 벽파의 갈등이라는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되었습니다. 그가 1794년 들고 나온 문체반정이라는 문풍의 개혁론은 이런 정치적 상황과도 관련됐습니다. 그는 즉위 초부터 문풍이 세도를 반영한다는 전제 아래 문풍 쇄신을 통한 세도의 광정을 추구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를 본격적으로 내세운 것은 정치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도의 정치술수이자 탕평책의 구체적 장치였던 것으로 이해됩니다. 정조는 이처럼 남인에 뿌리를 둔 실학파와 노론에 기반을 둔 북학파 등 제학파의 장점을 받아들여 그 학풍을 특색 있게 장려하여 문운을 진흥시켜 나갔습니다. 한편으로는 문화 저변 확대를 도모하고 중인 이하 계층의 위항문학도 적극 지원했습니다.
아버지 예우와 수원 신도시 건설
정조는 비명에 돌아가신 아버지에 대한 복수와 예우 문제도 고심했습니다. 외할아버지 홍봉한이 노론세도가로서 아버지의 죽음과 관련되었으나 홀로 된 어머니를 생각하며 사면해야 하는 갈등을 겪었습니다. 또 아버지를 장홍세자로 추존하였습니다. 양주 배봉산 아래 있던 장홍세자의 묘를 수원 화산 아래 이장하여 현륭원이라 하고 용주사를 지어 원찰로 삼았습니다. 그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복권과 어머니 혜경궁 홍 씨에 대한 효도를 수원에 신도시를 건설하는 것으로 완수하였습니다. 옛 수원 관아가 있던 화산에 현륭원을 조성하고 대신 팔달산 기슭에 신도시 화성을 건설하고 어머니 환갑잔치를 화성행궁에서 열었습니다. 권신의 뿌리가 공고한 서울에서 벗어나 신도시 수원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정치적 구상을 가진 것이었습니다. 왕의 말을 '교’라고 표현한 데서 단적으로 나타나듯이 왕은 통치자일 뿐만 아니라 스스로 실천하여 모범을 보이고 큰 스승이 되어야 하는 것이 조선시대였습니다. 조선이 성리학 이념을 채택하고 우문정치로 표현되는 문화정치를 표방한 지 400년 만에 명실상부한 전형적인 학자 군주가 탄생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