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신사임당은 조선 시대 중기의 문인이자 유학자, 화가, 작가, 시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녀는 1504년에 태어나 1551년에 사망했습니다. 그녀는 성리학자 겸 정치인 율곡 이이의 어머니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녀는 여성으로서의 품위와 교양을 갖추고, 예술과 학문에 뛰어난 재능을 발휘했습니다. 그녀의 삶과 업적은 우리에게 많은 교훈과 영감을 줍니다.

 

신사임당
신사임당

 

신사임당의 출생과 성장

신사임당은 평산 신 씨의 딸로, 아버지는 신명화, 어머니는 용인 이 씨였습니다. 그녀는 강릉 오죽헌에서 태어났습니다. 오죽헌은 그녀의 외할아버지 이사 온이 처가로부터 물려받은 곳이었습니다. 그녀는 어머니와 할머니로부터 여범과 학문을 배워 부덕과 교양을 갖춘 현부로 성장했습니다. 그녀는 7세 때부터 스승이 없이 안견의 그림을 모델로 하여 산수화를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소녀들과는 다르게 유교 경전과 같은 책들도 많이 읽었습니다. 그녀는 특히 태임(太任)을 본받고자 했습니다. 태임은 중국 고대 주나라의 문왕의 어머니로, 태교를 실천하고 훌륭한 인성과 지혜를 가진 여성으로 소문났습니다.

 

신사임당의 결혼과 가정생활

신사임당은 19세에 이원수와 결혼했습니다. 이원수는 증좌찬성을 지낸 인물이었지만,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출세하지 못했습니다. 신사임당은 남편의 출세를 위해 10년 별거를 제안하기도 했었지만, 남편은 몇 달 못 가서 돌아왔습니다. 결국 신사임당은 남편에게 "머리를 깎고 절에 들어가 중이 되겠다"는 으름장을 놓아 남편이 다시 열심히 공부하게 했습니다. 신사임당은 홀어머니를 모시고 친정인 강릉과 서울의 시댁을 오가며 양가를 봉양했습니다. 그녀는 4남 3녀를 낳았습니다. 그중 첫째 딸 매창과 셋째 아들 이이는 어머니를 닮아 시, 서, 화에 능했습니다. 매창은 조선시대 유명한 화가이자 시인으로 이름을 떨쳤고, 이이는 성리학자 겸 정치인으로 조선의 역사에 큰 흔적을 남겼습니다. 신사임당은 딸, 아들을 차별하지 않고 동일하게 그림을 가르치며 인성과 감성을 함께 길러냈습니다. 그녀는 자녀들에게 그림에 대한 가르침을 이렇게 전했습니다. “그림은 단순히 손재주만으로 그릴 수 없는 것이다. 우선 마음을 가다듬은 다음 그리고자 하는 대상을 자세히 관찰해야 한다. 곤충이든 식물이든 그 대상이 갖고 있는 실체를 확실히 파악하지 않으면 그림을 그려도 생명력이 없다는 것을 명심하고 그려야 한다.”

 

신사임당의 예술과 학문

신사임당은 그림, 서예, 시를 쓰는 것에 매우 능했습니다. 그녀의 작품 중에는 ‘자리도’, ‘초충도’, ‘노안도’ 등이 있습니다. 그녀의 그림은 섬세하고 생동감 넘치는 사실화로 평가받았습니다. 그녀는 과일, 난초, 물고기나 새, 풀벌레 등 생활 속에서 섬세한 여성의 눈으로만 관찰될 수 있는 친근한 소재들을 주로 그렸습니다. 특히 섬세하고도 생동감 넘치는 풀벌레 그림을 보고 닭이 살아있는 줄 알고 쪼아댔다는 일화는 유명합니다. 그녀의 서예도 뛰어났습니다. 그녀는 정조가 즐겨 쓴 '정조체’의 원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조체란 정조가 만든 글씨체로, 정조가 신사임당의 글씨를 보고 감명받아 모방한 것입니다. 정조체는 굵기와 얇음이 잘 조화되어 있으며, 세로줄과 가로줄의 길이가 비슷하고, 글자가 고르게 배치되어 있습니다.

그녀의 시도 우수했습니다. 그녀는 시조와 연시를 주로 썼습니다. 그녀의 시에는 고향에 대한 향수와 어머니에 대한 효심, 자연과 인간의 조화 등이 주제로 다루어졌습니다. 그녀의 시는 감정과 사상이 잘 조화되어 있으며, 운율과 음운이 아름답습니다.

 

신사임당의 죽음과 후세 평가

신사임당은 1551년에 병으로 사망했습니다. 그녀는 48세였습니다. 그녀의 유해는 강원도 영월군 매천면 매죽리에 있는 신명화 묘소에 안장되었습니다. 그녀의 죽음 후에도 그녀의 이름과 업적은 잊혀지지 않았습니다. 1962년에는 국보 제304호로 지정된 오죽헌에서 기념식이 열렸으며, 1982년에는 문화유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신사임당은 조선의 현모양처와 예술가로서 우리에게 자랑스러운 인물입니다. 그녀의 삶과 업적은 여성의 교육과 사회참여, 예술과 학문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그녀는 우리 문화의 보물이며, 우리 역사의 중요 인물입니다.